명령어를 입력 받아 해당 명령어의 절대 경로를 찾아준다.

01.whereis [옵션] 파일명
02.-b : 바이너리 파일만 찾는다.
03.-m : 메뉴얼 페이지만 찾는다.
04.-s : 소스만 찾는다.
05.-u : 일반적이지 않은 항목을 찾는다. 이 옵션은 일반적으로 특정 파일을 제외하는데 사용된다.
06.-B : 실행 파일을 찾을 경로를 지정한다.
07.-M : 메뉴얼 페이지를 찾을 경로를 지정한다.
08.-S : 소스 파일을 찾을 경로를 지정한다.
09.-f : 경로 지정이 끝나고 다음에 오는 것은 찾을 파일 이름을 알리는 옵션이다.
10.이 옵션은 -B, -M, -S 옵션들이 사용될 때에 사용해야 한다.

whereis는 실행파일의 위치와 함께 소스, 설정파일, 메뉴얼 페이지를 검색하여 보여준다. 이는 locate(slocate) 명령보다 검색 속도가 느리고 검색범위에 제한이 있으며, 출력결과를 단순하게 보여준다.
which 명령은 $PATH내의 실행파일의 위치를 알려준다.
반면에, whereis는 $PATH내의 실행 파일 경로뿐만 아니라, 메뉴얼 페이지의 전체 경로도 알려 준다.
아래와 같이, whereis 명령으로 rm 명령의 실행 파일 위치와 맨페이지 위치를 한 번 살펴보자.

1.# whereis rm
2.rm: /bin/rm /usr/share/man/man1/rm.1.gz

1.# which rm
2.alias rm='rm -i'
3./bin/rm
2005/06/16 17:05 2005/06/16 17:05

트랙백 주소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