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이름을 확인하고 설정하는 명령이다.

사용법 : hostname [옵션] 파일명 
-a, --alias : alias 명을 보여준다. 
-d, --domain : 도메인을 보여준다. 
-F, --file 파일명 : 파일로 부터 호스트 이름을 받아서 설정한다. 
-f, --fqdn, --long 
-h, --help : 도움말을 보여준다. 
-i, --ip : 호스트의 IP address를 보여준다. 
-n, --node : Display the DECnet node name 
-s, --short : 짧은 호스트 이름을 보여준다. FQDN에서 앞에 첫 번째 점 전 부분을 보여준다. 
-V, --version : 버전을 보여준다. 
-v, verbose : 호스트 설정이나 호스트 이름을 자세히 보여준다. 
-y, --yp, --nis : NIS 도메인 이름을 보여준다. 또한 파일을 받아와 NIS 도메인 이름을 설정할 수 있다. 

시스템 이름을 보여준다. 또한 변경할 수도 있다. 옵션이 없는 기본형으로 사용하면 FQDN 형태로 출력된다.

# hostname -v 
gethostname()=redhat.linux.com' 
www.kingdom.com 

호스트 이름을 변경한다.

# hostname -v ftp.kingdom.com 
Setting hostname to ftp.kingdom.com' 
2005/06/20 20:30 2005/06/20 20:30
사용자의 UID, GID 번호 및 현재 셀에서의 ID 정보를 보여준다.

사용법 : id [옵션] [사용자명] 
-g, --group : 사용자의 그룹 ID만 보여준다. 
-G. --groups : 추가 그룹의 ID만 보여준다. 
--help : 사용법을 보여준다. 
-n, --name : -u, -g, -G 옵션과 같이 쓰여 해당하는 ID의 이름만을 보여준다. 
-r, --real : -u, -g, -G옵션과 같이 쓰여 해당하는 실제 ID를 보여준다. 
--version : 버전정보를 보여준다. 

id 명령어는 현재 사용자의 실제 ID와 유효 사용자 ID, 그룹 ID를 보여준다. 내부 bash변수인 $UID, $EUID, $GROUPS와 짝을 이룬다. 만일 사용자를 지정하면 해당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보여주게 된다.
id 명령으로 현재 로그인한 admin 계정에 대해 정보를 살펴보자.

# id 
uid=0(root) gid=0(root) groups=0(root),1(bin),2(daemon),3(sys),4(adm),6(disk),1) 

이 내용은 로그인된 사용자는 root계정이고 uid는 0,gid가 0 이다.
echo $UID 명령으로 현재 root 계정의 uid를 알아 볼 수도 있다.

# echo $UID 
0 
2005/06/20 20:29 2005/06/20 20:29
이더넷 카드와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명령어이다.

사용법 : ifconfig [인터페이스] 
           ifconfig 인터페이스 [타입]옵션 | 주소 
인터페이스 : 인터페이스 이름. 대개 NIC이 설정이 되어 있다면, eth0, eth1이 되며, PPP로 연결되어 있따면 PPP0, PPP1의 이름이 된다. 
타입 : 지정한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할 프로토콜을 지정한다. 현재 지원되는 것으로는 inet(TCP/IP을 사용할 경우), INET6(ipV6), AX25(AMPR Packet Radio), d에 (Appletalk Phase 2), ipx (Novell IPX) 등이 있다. 
up : 지정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다. 
down : 지정한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한다. 
[-]arp : ARP 프로토콜을 활성화/비활성화한다. 
[-]promisc : promiscuous 모드를 활성화/비활성화한다. promiscuous모드를 활성화하면 인터페이스를 지나가는 모든 패킷을 받는다. 
[-]allmulti : all-multicast mode 모드를 활성화/비활성화한다. all-multicast모드를 활성화하면 인터페이스를 지나가는 모든 패킷을 받는다. 
metric N : 인터페이스 metric을 설정한다. 
mtu N : 인터페이스 MTU를 설정한다. 
dstaddr addr : PPP 원격 IP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netmask addr : 인터페이스의 넷마스크를 설정한다. 
add addr/prefixlen : 인터페이스에 IPv6 어드레스를 부여한다. 
del addr/prefixlen : 인터페이스에 IPv6 어드레스를 제거한다. 
irq addr : 디바이스에 irq 주소를 지정한다. 
io_addr addr : 디바이스의 IO 주소를 지정한다. 
mem_start addr : 디바이스의 공유 메모리 시작 주소를 지정한다. 
media type :  디바이스의 물리적 타입을 설정한다. 물리적 타입에는 10base2 (thin Ethernet), 10baseT (twisted-pair 10Mbps Ethernet), AUI (external transceiver) 등등이 있다. 
[-]broadcast [addr] : 인터페이스의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설정한다. 
[-]pointopoint [addr] : 인터페이스의 point-to-point 모드를 활성화하고, 주소를 설정한다. 
hw class address : 인터페이스의 하드웽어 주소를 설정한다. 
multicast : 인터페이스를 멀티 캐스트 플래그로 설정한다. 
address : 인터페이스에 IP 주소를 설정한다. 
txqueuelen length : 디바이스의 전송 큐 길이를 설정한다. 

ifconfig는 보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한다. 먼저 -as 옵션으로 설정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를 살펴보자.

# ifconfig -a 
eth0      Link encap:Ethernet  HWaddr 00:5F:8B:A3:C7:3B  
          inet addr:211.123.55.32  Bcast:211.123.55.127  Mask:255.255.255.128 
          UP BROADCAST RUNNING MULTICAST  MTU:1500  Metric:1 
          RX packets:20120837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22185707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1000 
          RX bytes:3802383154 (3626.2 Mb)  TX bytes:733381973 (699.4 Mb) 
          Interrupt:5 Base address:0x3000 Memory:c6fff000-c6fff038 

lo        Link encap:Local Loopback  
          inet addr:127.0.0.1  Mask:255.0.0.0 
          UP LOOPBACK RUNNING  MTU:16436  Metric:1 
          RX packets:7552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7552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0 
          RX bytes:1365238 (1.3 Mb)  TX bytes:1365238 (1.3 Mb) 

IP 설정
eth1 인터페이스에 아래와 같이 네트워크 IP와 넷마스크를 설정해보자.

# ifconfig eth1 192.168.0.1 netmask 255.255.255.0 

인터페이스 활성화하기
eth1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다.

# ifconfig eth1 up 

아래와 같이 ifup명령으로도 활성화가 가능하다.

# ifup eth1 

인터페이스 비활성화 하기
eth1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 ifconfig eth1 down 

기본 게이트웨이 설정
기본 게이트웨이를 211.255.253.62로 설정해보자.

# route add -net default gw 211.255.253.62 
2005/06/20 20:28 2005/06/20 2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