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ernal Hard Drive라도 Rebooting 하셔야 됩니다.
왜냐하면 IBM, Sun, HP 그어느 System이라도 System booting 전에
연결되어 있는 External Device가 Power on 되있어야 인식을 합니다.
IBM AIX에는 cfgmgr이라는 command가 모든 새로 장착된 device를
관장해 주는데 이 command 또한 System boot(Phase 2)당시 자동으로
run 해서 모든 device를 잡아 줍니다. 다른 System도 마찬마지 입니다.
이런 관계로 꼭 Reboot 하셔야 합니다.

질문과는 방향이 다른데 RAID(특히 5)에 사용하는 Dard Drive(hot swap)는
문제 발생시 System reboot 없이 Hard drive 교체가 가능합니다.
2005/07/04 14:40 2005/07/04 14:40
링크(Link)

도스나 윈도 사용자에게는 낯선 개념인데, 유닉스나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 실제 파일이나 디렉토리 혹은 또 다른 링크를 가리키도록 연결해 준다는 의미이다. 윈도의 '바로 가기'나 단축 아이콘을 연상할 수도 있지만, 바로 가기나 단축 아이콘이 단순히 파일 관리자가 담당하는 기능인 반면, 리눅스의 링크는 파일 시스템 차원에서 제공된다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링크에는 소프트(Soft) 링크와 하드(Hard) 링크 두 가지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링크라 함은 소프트 링크를 말한다.

 

소프트 링크(Soft Link)

소프트 링크는 심볼릭(Symbolic) 링크라고도 하는데, 윈도의 바로 가기 기능과 유사하다. 특정 디렉토리의 파일을 다른 디렉토리에서 실행하려면 그 파일에 대한 절대경로를 이용해 명시하거나 그 파일을 사용할 디렉토리로 복사해야만 한다. 이럴 경우 윈도에서는 바로 가기 기능을 이용해 원본 파일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진 단축 아이콘을 만들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소프트 링크 역시 파일의 불필요한 반복적 복사를 방지하여 파일 시스템을 유연하게 활용하거나 여러 디렉토리에서 동일한 라이브러리를 요구할 경우, 같은 파일을 여러 사람이 공통으로 관리하면서 사용할 경우, 비슷한 역할을 담당하는 여러 가지 파일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대표적으로 사용하려 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소프트 링크에서는 원본 파일이 삭제되면 그 링크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하드 링크(Hard Link)

소프트 링크가 단순히 원본 파일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있는데 비해 하드 링크는 원본 파일을 복사한 다음 이의 사본을 생성한다는 차이가 있다. 소프트 링크와 마찬가지로 링크로 접근하거나 원본으로 접근하여 파일의 내용을 수정하였다면 원본과 하드 링크된 파일이 모두 수정되어 항상 같은 내용이 유지된다. 소프트 링크는 원본이 삭제될 경우 링크를 사용할 수 없지만, 하드 링크는 원본이 삭제되어도 원본과 동일한 내용의 파일을 가지고 있으므로, 자원을 공유하면서도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된다.
2005/07/04 14:39 2005/07/04 14:39

unix 파일시스템구조

FAQ 2005/07/04 14:39
모든 UNIX 파일 시스템은 5개의 주요부분으로 되어 있습니다.
파일시스템의 첫 번째 블록을 포함하는 몇 개의 블록에는
부트블록이 저장 됩니다.
이곳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실린더 그룹이라 부르는 여러개의
실린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 합니다.
한 개의 실린더 그룹은 수퍼블록, 실린더 그룹블록,i-node데이블
및 데이터 블록으로 구성 됩니다.

(1) 부트블록

: 부트스트랩에 필요한 파일들이 존재하며 루트영역외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즉 일반사용자 들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블록이다.

(2) 수퍼블록
: 파일 시스템의 크기, i-node 테이블의 크기, free 블록리스트 등
파일시스템을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가 저장된다.

(3) 실린더 그룹 블록

: 실린더 그룹내의 유효 블록들의 비트 맵 정보나 통계 정보를 기록한다.

(4) i-node 테이블
: 파일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싣는데 즉, 파일에 대한 크기,
데이터위치(디스크주소), 파일유형, 사용허가권, 생성날짜등이
기록되는 커널의 파일관리에 있어서 핵심이 되는 모든 자료를 기록한다.
만약 한 파일이 생성된다면 그 파일은 파일명을 가짐과
동시에 i-node number를 가지고서 해당 디렉토리 파일에
저장되기 때문에 디렉토리에서 파일명으로 손쉽게
i-node를 찾아 파일의 위치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5) 데이터 블록
: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이다.
2005/07/04 14:39 2005/07/04 1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