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dmail 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는 주로 2가지이다.

첫번째는, 시스템의 부하율인 Load Average 가 높아져 sendmail 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이고 두번째는 sendmail 에서 받는 메일이 저장되는 /var 파티션이 100%가 되었을 경우이다.
Sendmail 은 기본적으로 시스템의 Load Average 수치가 12를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작동하지 않게 되는데 이는 sendmail이 서비스 거부 공격등으로 시스템의 부하가 높아졌을 때 sendmail 로 인하여 시스템이 다운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처이다.
이 값을 수정하려면 sendmail.cf의
# load average at which we refuse connections
O RefuseLA=12
에서 수정한 후 killall –HUP sendmail 로 재실행해 주면 되고, 이 값은 각각의 시스템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만약 현 시스템의 특성상 늘 부하가 높아 로드가 자주 12를 초과한다면 이 값을 각자의 시스템 환경에 맞게 적절히 조절하여야 외부에서 오는 메일을 받을 수 있게 된다.(서버에서 25번 포트로 바인딩하고 있어야 외부에서 오는 메일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일이 저장되는 /var/spool/mail 파티션이 가득 찼을 경우(파티션 100%) 에도 sendmail 이 작동하지 않으므로 파티션이 가득 찼을 경우에는 /var/log/ 등에서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여 /var/spool/mail 이 포함된 파티션이 100% 를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용량 정리를 하여 파티션이 100%가 넘지 않으면 sendmail 이 자동으로 살아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Load Average 가 8을 넘으면 서버를 통해 메일을 발송해도 메일을 통해 바로 전송되지 않고 일단 서버의 메일 큐에 저장이 된 후에 발송이 되게 된다. 이 역시 같은 이유 때문인데 이 수치는 sendmail.cf 의

# load average at which we just queue messages
O QueueLA=8
에서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참고로 현재 시스템의 Load Average는 w 명령어를 이용하여 확인 가능하다.
w 를 이용시 시스템의 Load Average 는 0.25, 0.40, 0.43 와 같이 보이는데 이는 각각 현재를 기준으로 지난 1분, 5분, 15분간의 평균 시스템 부하율을 나타낸다.
2005/07/01 15:07 2005/07/01 15:07
compress, uncompress


가장 오래된 압축유틸리티이며 특히 오래전에 압축된 파일들은 거의 대부분 이 유틸리티를 활용하여 압축되어 있습니다.

파일의 끝에 Z가 붙어 있는 압축파일들은 compress로 압축된 것입니다.

일반사용자들 보다 서버관리자가 필히 알아두어야 할 유틸리티입니다.

사용법은 매우 간단하며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sspark@nice dat]$ ls -l

total 44

-rw-r--r-- 1 sspark sspark 5847 Jan 27 10:37 browser.html

-rw-r--r-- 1 sspark sspark 5879 Jan 27 10:37 host.html

-rw-r--r-- 1 sspark sspark 8295 Jan 27 10:37 hour.html

-rw-r--r-- 1 sspark sspark 858 Dec 7 04:02 log.range

-rw-r--r-- 1 sspark sspark 10733 Jan 27 10:37 page.html

[sspark@nice dat]$

[sspark@nice dat]$

[sspark@nice dat]$ compress *

[sspark@nice dat]$

[sspark@nice dat]$ ls -l

total 20

-rw-r--r-- 1 sspark sspark 2999 Jan 27 10:37 browser.html.Z

-rw-r--r-- 1 sspark sspark 2866 Jan 27 10:37 host.html.Z

-rw-r--r-- 1 sspark sspark 3745 Jan 27 10:37 hour.html.Z

-rw-r--r-- 1 sspark sspark 436 Dec 7 04:02 log.range.Z

-rw-r--r-- 1 sspark sspark 4093 Jan 27 10:37 page.html.Z




compress로 압축하기전의 용량과 압축후에 생성된 용량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압축된 후의 용량이 압축전의 용량의 절반쯤됩니다.

즉 압축률이 50%쯤이라고 볼 수 있죠.


그리고 압축이 된후에는 각각의 파일에 .Z라는 확장자가 붙게됩니다.

이는 compress로 압축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압축을 해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sspark@nice dat]$ uncompress *

[sspark@nice dat]$

[sspark@nice dat]$ ls -l

total 44

-rw-r--r-- 1 sspark sspark 5847 Jan 27 10:37 browser.html

-rw-r--r-- 1 sspark sspark 5879 Jan 27 10:37 host.html

-rw-r--r-- 1 sspark sspark 8295 Jan 27 10:37 hour.html

-rw-r--r-- 1 sspark sspark 858 Dec 7 04:02 log.range

-rw-r--r-- 1 sspark sspark 10733 Jan 27 10:37 page.html


compress로 압축된 파일은 반드시 uncompress로 압축해제를 해야합니다.

uncompress는 파일이 .Z로 끝나는 것만을 찾아서 압축해제를 해줍니다.
2005/07/01 15:06 2005/07/01 15:06

tar 로 파일 묶기

FAQ 2005/07/01 15:06
tar 로 파일 묶기

tar는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을 수 있으며 묶여진 파일을 다시 풀수 있는 유틸리티입니다.

또한 묶여진 파일을 풀기전에 어떤파일들이 묶여져 있나를 확인해 볼 수도 있습니다.

먼저 tar파일의 사용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형식 : # tar [옵션] 대상파일




tar를 사용할때에는 여러 가지 옵션에 대해서 알아야합니다.

tar의 옵션에는 약 40여개의 옵션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모든 옵션을 모두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중요하고 자주 사용하는 몇 개의 옵션만을 알아두면 됩니다.

그리고 필요한 옵션은 그때그때 메뉴얼(man tar)을 사용하여 참조한 후에 사용하시면 됩니다.


c : tar파일을 생성할때(여러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을 때) 반드시 사용

d : tar파일과 해당 파일시스템간의 차이점을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

r : tar파일에 다른파일들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

t : tar파일의 내용을 확인하고자 할 때 반드시 사용

f : tar파일을 사용할때에는 반드시 사용

p : tar파일을 생성할때(묶을 때) 당시의 파일퍼미션을 그대로 하여 풀어줄 때 사용

v : 묶을때나 풀어줄 때 파일들의 내용을 자세하게 보려고 할 때 사용

Z : compress로 압축파일을 사용할 때 압축이나 해제까지 한번에 할 때 사용

z : gzip과 관련하여 압축이나 해제를 한꺼번에 하려고 할 때 사용




tar로 파일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세경우가 있습니다.

즉, 첫 번째가 여러개의 파일 및 디렉토리들을 하나의 tar파일로 묶는 경우이며, 두 번째가 이렇게 묶은 tar파일을 다시 풀어준 경우이며, 세 번째의 경우가 묶여져 있는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즉,


묶을 때 : # tar cvf 압축파일.tar 압축대상파일 및 디렉토리
확인할 때 : # tar tvf 압축파일.tar
풀 때 : # tar xvf 압축파일.tar

각각의 경우에 대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sspark@nice dat]$ ls -l

total 44

-rw-r--r-- 1 sspark sspark 5847 Jan 27 10:37 browser.html

-rw-r--r-- 1 sspark sspark 5879 Jan 27 10:37 host.html

-rw-r--r-- 1 sspark sspark 8295 Jan 27 10:37 hour.html

-rw-r--r-- 1 sspark root 858 Dec 7 04:02 log.range

-rw-r--r-- 1 sspark sspark 10733 Jan 27 10:37 page.html

[sspark@nice dat]$ tar cvf myhome.tar *

browser.html

host.html

hour.html

log.range

page.html


위의 예는 현재 디렉토리내에 있는 모든파일 및 디렉토리들을 myhome.tar라는 파일하나로 묶어라는 것입니다.

원본파일들은 그대로 존재하게되며 myhome.tar라는 파일이 새로 생성되어 그 파일내에 모든파일 및 디렉토리들이 들어가게 됩니다.

c옵션을 반드시 사용하셔야합니다.




[sspark@nice dat]$ tar tvf myhome.tar

-rw-r--r-- sspark/sspark 5847 2000-01-27 10:37 browser.html

-rw-r--r-- sspark/sspark 5879 2000-01-27 10:37 host.html

-rw-r--r-- sspark/sspark 8295 2000-01-27 10:37 hour.html

-rw-r--r-- sspark/root 858 1999-12-07 04:02 log.range

-rw-r--r-- sspark/sspark 10733 2000-01-27 10:37 page.html




이 예는 myhome.tar라는 tar파일에 어떤파일들이 묶여져 있나를 확인해 본 것입니다.

t옵션을 반드시 사용하셔야 합니다.



[sspark@nice dat]$ ls -l

total 40

-rw-rw-r-- 1 sspark sspark 40960 Jan 27 10:38 myhome.tar

[sspark@nice dat]$

[sspark@nice dat]$ tar xvf myhome.tar

browser.html

host.html

hour.html

log.range

page.html


마지막예로서 myhome.tar에 묶여져 있는 파일들을 현재 디렉토리에 풀어준 것입니다.

x옵션을 반드시 사용하셔야합니다.
2005/07/01 15:06 2005/07/01 1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