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오늘은..라우터세팅에 대해서 알아보는데..기존의 콘솔이나..텔넷 방식이 아니고..웹브라우져에서 하는 방식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우리가 일단 웹브라우져에서 라우터를 세팅하기 위해서는 두가지는 갖춰져 있어야 합니다..첫째..라우터의 IP주소를 세팅한다..!! 당연하죠.?? 라우터 IP주소가 있어야지 브라우져에서 IP 주소를 넣고 라우터를 찾을수 있죠..^^밑에있는 그림에도 보이시죠..?? 브라우져의 주소부분에 라우터의 IP주소를 넣었자나요.?? 두번째...라우터에 글로벌 명령을 넣는다.

Router(config)#IP HTTP SERVER

요게 바로 HTTP 서버로서 라우터가 동작하게 하는거죠..즉 라우터를 웹브라우져에서 보이게 하는 거죠. ..이렇게 두가지 명령이 라우터에 입력되고나면..우리는 넷스케이프나..인터넷익스플로러에서 라우터의 IP주소만을 입력하면..라우터를 아래그림처럼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재밌겠죠..?? ^^ 여기..즉 웹브라우져에서 라우터 세팅을 할수 있는건..아래 그림에서처럼 각 인터페이스 상황을 보여주는 show interface , 각각의 명령을 사용자 레벨별로 넣을수 있는 Monitor the router, 그리고 핑테스트 등이 있습니다.. 물론 텔넷도 있구요..라우터를 첨 대하는 초보자에게는 아무래도 콘솔이나..텔넷 보담은 이런 웹방식이 친숙하겠죠..?? 한번 기회가 되면 써보세요..^^ ....오늘의 결론.. 시스코 라우터도 웹방식으로 관리가 가능하다..(제생각에는 근데....별로 편하진 않아요..)암튼..고걸 가능하게 할려면..두가지 명령..주소넣는거하고..ip http server 을 넣어준다..!!요기까지입니다..^^ 안녕

2007/05/03 18:15 2007/05/03 18:15

트랙백 주소 :: http://thinkit.or.kr/network/trackback/172

댓글을 달아 주세요

..전번에..7 Layer 에 대해서 이야기 했으니까..오늘은 그 이야기에 이어서...Layer 3 스위치에 대한 이야기를 좀 해볼까요..?? 여러분이 아시는대로 스위치는 레이어2, 즉 데이타링크 레이어의 장비죠...그니까..스위치는 경로배정을 멕 주소(MAC Address)에 의해서 하는 장비인거죠...그러면 레이어3 스위치는 멀까요..? 네 말그대로 스위치가 레이어 3, 즉 네트워크 레이어를 지원한다는 의미 입니다..그럼 문제..?? 레이어 3를 원래 지원하는 장비는 멀까요.?? ..^^ 그건 라우터죠.. 그니까..레이어3 스위치란 스위치가 라우터의 기능도 가지고 있는 녀석을 말합니다. 즉 스위치이면서 라우터죠..보통때는 마치 스위치처럼 동작하다가..갑자기..라우터로 변신해서 라우터의 일을 수행하는거죠.^^ 왜 이런 라우팅기능이 필요한가하면..브로드케스트의 영향 때문이죠..스위치는 이 브로드케스트를 막아줄수 없기 때문이죠..물론 그 기능이외에도 라우터에는 여러가지 보안 기능도 있지만요...암튼..요즘 왠만한 스위치는 라우팅 기능을 포함하고 있죠..(물론 좀 비싼 스위치만요..^^) 스위치에 라우팅을 하는 이유는 그외에도 훨씬 빠른 라우팅기능을 위해서입니다..스위칭이 라우팅보다 빠르기때문이죠..^^ 암튼 오늘의 결론..레이어 3 스위칭이란.. 스위치면서..라우팅 기능이 있는...장비다..요기까지 입니다..^^

2007/05/03 18:13 2007/05/03 18:13

트랙백 주소 :: http://thinkit.or.kr/network/trackback/171

댓글을 달아 주세요

학교다닐때..네트워크만 나오면 외웠던게..바로 OSI 7 계층..머 이런거였는데..요즘도 배우나요..??

있자나요..왜..

Application Layer

Presentation Layer

Session Layer

Transport Layer

Network Layer

Data Link Layer

Physical Layer

요걸 저는 "에------"라고 외웠어요..왜 그랬는지는 아시죠.?? 암튼 그땐 왜 그렇게 안외어지던지..괜히..어떤 녀석이..요렇게 네트워클 나눠놔가지고..그랬는데..그땐 왜 이걸 이렇게 나눴는지에 대해선 별로 생각을 못했어요..

지금 한번 생각해볼까요..??

첫째는..

데이타의 흐름이 한눈에 보인다는겁니다...즉 우리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계층부터...맨마지막...피지컬 계층까지..를 나누어놓으니까...어떻게 데이타가 날아가는지가 보기 쉽다는거죠..

두번째는

문제 해결이 편리하다는겁니다..네트워크에서 문제가 발생하면..이 문제하나를 7개의 작은 문제로 나눈다음..그 문제를 해결하면 훨씬 쉽다는거죠...즉 예를들어 내피시가 전자메일이 안된다...그럼 어떻게 하나요..?? 핑을 쏴보죠.?? (즉 인터넷이 끊어졌나 확인하는거죠..) 요건..내 메일 즉..어플리케이션 문제가 발생했을때..핑을 쏴봄으로써..(..네트워크 계층 문제를 확인해보는거죠..) 문제를 확인하는거죠.. 만약 핑을 쐈는데..이상이 없다.....일단 네트워크 계층까지는 이상이 없는거니까..맨아래..피지컬, 그다음 데이타 링크..그리고 네트워크 계층 문제는 아닌거죠..그리고 그다음 부터를 확인하면 되는거죠..또 만약 게임방에서 스타를 하는데 베틀넷이 끊어진다....이때..게임방 주인은 모든 피시가 그런건지...

피시만 그런건지를 확인하자나요..?? 그것역시..피지컬 계층을 확인하는거라고 볼수 있죠..?? 어때요..?? 벌써 우리가 이렇게 7계층을 쓰고있는거라구요..^^

또 세번째는...

이렇게 계층을 7개로 나누고 각 층별로..표준화를 하니까..여러 회사장비를 써도 이상없이 돌아가는거예요..즉 랜카드는 3Com 허브는 인텔..그리고 라우터는 시스코를 써도..계층별로 나누어졌기때문에 가능한거죠..만약 계층이 나눠지지 않았다면..어떨까요..?? 정말 큰 문제겠죠..?? ^^ 참고로..그럼 제가 몇가지 문제를 내볼까요..?? 데이타 케이블이나..허브..그리고 랜카드는 무슨 계층에 속할까요..?? 답은 Physical Layer 입니다..그럼 스위치나..브리지는요..?? 고건 Data Link Layer 이구요..그럼 라우터는 요..?? 그건 Network Layer입니다... 다 아시는거..맞죠..?? 안녕...^^

2007/05/03 18:12 2007/05/03 18:12

트랙백 주소 :: http://thinkit.or.kr/network/trackback/170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