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Which four solutions are used to prevent routing loop?(chose four)

a. split horizon : omits from the message any information about destinations routed on that link

b. route poison : Sets the distance to infinity if the destination is routed on that link

c. area hierarchies

d. holddown timer : tells to hold any changes that might affect router for some period of time

If at any time before the hold-down timer expires an update is received from a different neighboring

router with a poorer metric, the update is ignored

e. Triggered updates : new routing table that is sent immediately, in response to some change.

f. SPF algorithms

g. link-state algorithms

이런식으로 나온답니다. 답은 뭘까요..??

다 아시죠..? 얼마전에 제 칼럼에 있었으니까.^^

답은a,b,d,e 입니다.

2. You enter following command, which are correct?(chose 3)

ip route 172.15.0.0 255.255.0.0 172.137.14.78 120

a. your originating network is 172.15.0.0 ( can't know )

b. your destination network is 172.15.0.0

c. your next hop address is 172.137.14.78

d. you are using the default class C subnet mask (class B)

e. your destination address is 172.137.14.178 ( address -> network )

f. you are using the autonomous system of 120 (can't know)

g. you are using the administrative distance of 120

가 있습니다. 답은 뭘까요..??b,c,g 입니다.

궁금하심 질문주세요..^^

2007/05/03 18:24 2007/05/03 18:24

트랙백 주소 :: http://thinkit.or.kr/network/trackback/181

댓글을 달아 주세요

이글을 읽으시는 분중에는 시스코의 CCNA라는 자격증을 알고 계시는 분이 있으실 겁니다. 우선 간단하게 이 자격증을 한번 알아볼까요..?? 우선 CCNA Cisco Certified Network Associate 의 약자로 시스코 자격증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자격증입니다. 현재 국내에는 약 천여명의 CCNA 자격증 소지자가 있고 앞으로도 그 수가 점점더 늘어날 것이라고 합니다.

시스코에서는 시스코 장비 취급회사에 이 자격증 소지자가 있을 경우 여러가지 우대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시스코 장비를 취급하는 회사에서는 이 자격증을 보유하려고 많이 공부를 하고 있고 또 자격증 소지자를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기도 합니다.그럼 이 시험에는 주로 뭐뭐가 나오느냐...저도 시험본지가 하도 오래되서..가물가물^^ 암튼 그리 쉬운 건 아니지만..또 뭐..그리 어려운것도...아니다..^^ 주로 기본적인 네트워킹에 대한 상식과 TCP/IP 개념 IP 주소의 개념과 서브넷..그리고 시스코 라우터의 명령등...이 많이 출제 된답니다.. ..?? 그러고 보니..이미 제 칼럼에서 다 다루었던 내용이네요...맞습니다..아마 제 칼럼만 열심히 보고 가셔도..금방..합격하실겁니다..^^ 떨어지면 책임 질거냐구요..??

그야..노력부족이라고..둘러대야죠..^^암튼..여러분중에..혹시 이시험을 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앞으로는 시간날때마다..예상 문제를 조금씩 풀어가면서..머리를 식힐까(?) 합니다..안녕...^^

2007/05/03 18:23 2007/05/03 18:23

트랙백 주소 :: http://thinkit.or.kr/network/trackback/180

댓글을 달아 주세요

오늘은 칼럼을 건너뛸려고 했는데...요즘 자주 올라오는 질문중에 RIP 의 루핑 방지법 3가지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드릴려고 잠깐 들어왔어요..먼저 RIP 는 라우팅 업데이트 과정에서 루핑이 발생하거든요..왜냐면...프로토콜이 좀..바보같아서..^^ 암튼 그래서..루핑 방지법이 몇가지 있어요..대충 약 4가지..정도 되는데..하나는 다 아시는거니까...그게 머냐구요..?? 그건 멕시멈 홉카운트(maximum hop count)입니다.. 15 개 이상은 넘어가지 못하게 한거죠..그러니까 루핑이 생겨도 그 이상은 못넘어가니까..자동으로 16번째에서는 끝나는거죠..자 그다음이 스플리트 호라이즌 (split horizon) , 우리말로 하면 수평으로 짜르는걸 말합니다. 이게 무슨 말인고 하니....암튼 만약 내가 ""이란 라우터에게 어떤 경로에 대한 정보를 받았다면...그걸 다시 ""에게는 알려주지 않는겁니다.예를들어볼까요?? 옛날옛날에 갑돌이하고 갑순이가 살았는데요...갑돌이 라우터에는 A 라는 네트워크가 붙어있었고..갑돌이는 그 A 네트워크를 가려면 자기를 통해서 가야 된다고 갑순이에게 알려줬어요...그래서 갑순이는 " A 네트워크에 갈려면 갑돌이를 통해서 가는구나.." 를 알게 되었고 이런 정보를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는 "A 네트워크 . 1 홉카운트" 이렇게 써놓았죠..근데 어느날 갑돌이가 A 네트워크가 죽어서 이제 가는길이 없다는걸 알게됬어요..그래서 갑순이게 A 네트워크에 가는길을 아느냐고 물었죠..그랬더니 갑순이가..자기 라우팅테이블을보니까..A 네트워크가는길을 자기는 알고 있는거예요..그래서 갑돌이에게.."난 길을 아니까..일단 전부 내게 보네.." 이렇게 말했어요..그래서 갑돌이는 A 네트워크에 가려는 모든 녀석들을 이제..갑순이에게 보내기 시작했죠...

갑돌이에게서 받은 A 네트워크로 가는 녀석들은 갑순이는 다시 갑돌이에게 보내겠죠..?(A 네트워크로 갈려면 갑돌이를 통해서 가야하는걸로 알고 있으니까요.)그럼 그걸 받은 갑돌이는 이게 A로 가는거니까..다시 갑순이에게 보내고..갑순이는 다시 갑돌이에게 보내고..그럼 이 둘사이에서 루핑이 발생하는거예요..그래서 스플릿호라이즌 을 설정하면..갑순이가 알고있는 A에 대한 정보는 원래 갑돌이에게서 배운거니까..다음에 갑돌이가 A에 대한 정보를 알려달라고 해도 갑순이는 알려주지 않는거죠..즉 자신이 배운 스승에게는 다시 그정보를 알려주지 않는다...이게 스플릿 호라이즌 입니다..어렵나..??

홀드다운 타이머(hold dowm timer)는 어떤 라우터가 네트워크가 다운된걸 알게되면 홀드다운 타이머를 ON 해놓는거예요..

그래서 그타이머가 다 돌아갈때까진는 그 네트워크가 다른길을 통해서 갈수 있다는 정보를 받아도 무시해버리는 겁니다..(왜냐면...이 정보는 루핑이 발생할 수 있는 정보기 때문에...)그러나 만약 라우터가 그 네트워크가 다운됬다는 정보를 받았던 곳으로부터..다시 그 네트워크가 살았다는 정보를 받으면..홀드다운 타이머를 끄고 이정보를 받아들입니다..즉 맨 처음 죽었다는걸 알려준 녀석이 다시 살았다고 알려주면 믿는다는겁니다..또 홀드다운 타이머가 켜져있는 상태에서 그라우터에게..더 좋은 길..즉 더 낮은 홉카운트로 그 네트워크에 갈수 있다고 알려주면..홀드다운 타이머를 끄고 그 정보를 받아들입니다..따라서 홀드다운 타이머는..어떤 네트워크가 죽었다고 하면..타이머를 켜고..이 타이머가 켜있을동안은..

처음 이게 죽은걸 알려준곳 또는 이 네트워크를 평소 자기가 알고 있던 홉카운트보다 더 적은 홉카운트로 알려주는 곳이 있을때만..카운트를 끄고 그 정보를 받아들인다...나머지는 믿지 않는거죠..(물론 카운터의 시간이 다 지나면..꺼집니다...이때는 모든 정보가 다 받아들여졌다고 가정하는겁니다)포이즌 리버스 (poison reverse)는 어떤 네트워크가 죽었다고 하면 그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홉카운트 15 이상으로 바꿔버립니다..즉 라우팅테이블에서 없에는게 아니고..홉카운트를 높은수.. 16등으로 만들어서..갈수 없게 하는겁니다..게다가..라우팅 테이블에 보관되니까..다른 정보를 받아들이지도 않고..다른 라우터들에게는 이 정보를 뿌릴수 있죠.. 이런 포이슨 리러스 (리버스 포이슨 인가..??^^) 암튼 요녀석

은 주로 홀드다운 타이머랑 같이 논답니다..자 그럼 정리해볼까요..

스플릿 호라이즌은....내가 어떤 녀석에게 배운정보를 다시 그녀석에게 알려주지 않는다..!!!홀드다운 타이머...네트워크가 죽으면..타이머를 걸고..그 타이머가 끝날때까지는 그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다만 예외는 맨 첨에 그네트워크가 죽은걸 알려준 녀석이 다시 살았다고 알려줄때나..아니면 그네트워크에 더 빨리 갈수 있는 길이 있다고 알려줄 경우는 타이머를 끄고 그 정보를 받아 들인다..

포이즌 리버스는 어떤 네트워크가 죽엇단는 걸 알게되면 그 정보를 라우팅 테이블에서 지우는게 아니고 홉카운트를 높여서 못가게 만든다..머 이정도 입니다..^^아마 좀 어려울 겁니다..

2007/05/03 18:23 2007/05/03 18:23

트랙백 주소 :: http://thinkit.or.kr/network/trackback/179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