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오늘은 브리지나..스위치에서 자주 발생하는 루핑현상에 대해서 함 알아보죠..우리가 브리지나 스위치를 말하려다보면..절대 빠지지 않고 나오는 말이 있는데..그게 바로 스파닝트리 알고리즘(Spanning Tree Algorithm)입니다. 근데 이 알고리즘이 머냐..?? 면..스위치나 브리지의 루핑을 방지하기 위한거라고 말합니다..그럼 루핑이 먼가를 먼저 알면 스파닝트리를 이해하기가 쉽겠죠..?? 간단합니다..아래 그림보이시죠..?
여기서 처럼 두 호스트사이에 스위치또는 브리지가 두개 있다고 가정하죠..즉 이 얘기는 뭔말인고하니..하나의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가는 경로가 두개 이상 만들어진다는겁니다... (이해 가시죠..? 왼쪽브리지를 통해서 가는길 하나하구요..오른쪽 브리지를 통해서 가는길..하나..이렇게 두 개자나요..) 여기서 브리지대신 스위치라도 상황은 마찬가지 입니다...보통이렇게 구성하는 경우는 하나의 경로가 끊어져도 다른경로를 쓰기위한건데...아무생각없이 이렇게 구성을 하게되면...가장 큰문제..즉...루핑이 발생하게 되는겁니다....자..아래 그림에서 이걸한번 가정해보죠..호스트A 가 브로드케스트 페킷을 보냅니다..그럼 양쪽 브리지(스위치)로 전달되겠죠..? 그담은 그 두개의 브리지는 이 페킷을 분석합니다..브리지의 특성상 브로드케스트는 포워딩이 발생하죠..즉 다른쪽으로 내보내는거죠...그럼 상대방 쪽 세그먼트로 브로드케스트가 보내지겠죠...그쪽에 보내진 브로드케스트는 다시 양쪽 브리지의 아랫쪽 포트로 전달되고 이 페킷역시 브리지특성에 따라 다시 위로 전달되는거죠...이런 과정이 반복되게되면..한번 발생한 브로드케스트 페킷이 양쪽 브리지를 통해 네트워크 사이를 계속 뺑뺑돌게되는 루핑이 발생하게되는겁니다..이와같이 루핑이 발생되면..물론 다른 데이타를 전송할 수가 없겠죠..? CSMA/CD 의 특성 아시죠..?? 따라서 네트워크가 무용지물 상태로 빠지는 거죠.. 이와같이 루핑은 네트워크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수가 있는겁니다...자..그렇다면..이런 루핑을 막는다는 스파닝트리는 무얼까요?? 그건 담시간에 하자구요..?? ^^ 그러죠..머.. 그럼 안녕..
댓글을 달아 주세요